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취업하기 좋은 중장년층 자격증 일자리 추천 새일찾기

by 리치리치1 2023. 2. 23.
반응형

정부가 제공하는 공공근로나 일자리가 아닌 이상 은퇴 후 재취업은 쉽지가 않습니다. 퇴직 후 쉬는 것보다 계속 일하고 싶어 하는 중장년층 분들이 많다고 하네요. 건강이 허락한다면 70세 이후까지도 일하고 싶다는 응답이 매우 높다고 합니다. 오늘은 취득 시 취업 확률이 높은 전기기능사 자격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기기능사란

전기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자격을 갖춘 사람으로 전기기기를 제작, 제조, 조작, 운전, 보수 등을 하도록 하기 위하여 자격제도가 제정되었습니다.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실시하는 가장 기본적인 전기 기술 자격증이며 비전공자가 취득 가능한 자격증입니다.

 

전기기능사의 수행직무

전기에 필요한 장비 및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기, 정지기, 제어장치 또는 빌딩, 공장, 주택 및 전력시설물의 전선, 케이블, 전기기계 및 기구를 설치, 보수, 검사, 시험 및 관리하는 일을 수행합니다.

 

응시자격: 

제한 없음 

 

시험정보 및 검정방법

시행처: 한국산업인력공단

관련학과: 전문계 고등학교의 전기과, 전기제어과, 전기설비과, 전기기계과, 디지털전기과 등 관련학과

시험과목: 필기-1. 전기이론  2. 전기기기  3. 전기설비

                 실기- 전기설비작업

검정방법: 필기- 객관식 4지 택일형(60문항)

                 실기- 작업형(4시간 30분 정도, 전기설비작업)

합격기준: 필기-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실기-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전기기능사 시험 일정 

2023 전기기능사 시험일정
2023년 전기기능사 시험일정

 

 

 

출제경향

필기시험 과목은 전기이론, 전기기기, 전기설비 기술기준 및 판단기준의 3과목으로 진행되는데 이중 전기이론은 4년제 대학교에서 배우는 회로이론과 전자기학의 기초 수준으로 특성화고등학교 전문 교과에 맞는 난이도로 책정이 되어 있습니다. 필기는 난도가 높은 편으로 합격률이 20~30%밖에 되지 않을 만큼 어렵다고 합니다.

이 시험이 전기기술 문외한이 풀기에는 은근히 까다로운 수학적 계산 문제를 포함하고 있는 데다가 전기기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요구하는 터라 단순히 기출문제만  외우는 것만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최소한 전기기술에 대한 개념 이해만큼은 충분히 준비하셔야 합니다.

 

반면 실기 합격률은 70% 정도로 높은 편인데 이유는 특성화고 학생들이 의무검정으로 전기기능사를 응시하기 때문이며 사실상 이들을 제외하고 일반인들이 보는 실기시험의 합격률은 한참 낮다고 봐야 합니다. 요즘은 취업난 때문에 30~40대도 전기설비 쪽에서 일하기 위해 전기기능사 자격증 따는 경우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시험 수수료

필기-14,500원  실기-106,200원

 

작업형 실기시험 기본정보

시험장소구분: 실내

주요 시설 및 장비: 니퍼, 드라이버, 쇠톱 등

보호구: 면장갑, 운동화

보호구(작업복 등) 착용, 정리정돈 상태, 안전사항 등이 채점 대상이 될 수 있으며 반드시 수험자 지참 공구 목록을 확인해야 합니다.

 

진로 및 전망

발전소, 변전소, 전기공작물시설업체, 건설업체, 한국전력공사 및 일반사업체나 공장의 전기부서 가정용 및 산업용 전기 생산업체, 부품제조업체 등에 취업하여 전기와 관련된 제반시설의 관리 및 검사업무 보조를 담당할 수 있으며 전기공사산업기사, 전기공사기사, 전기산업기사, 전기기사 자격증 취득의 첫 단계이기도 합니다.

설치된 전기시설을 유지, 보수하는 인력과 전기제품을 제작하는 인력수요는 계속될 전망이며 새롭게 등장하는 신기술의 개발로 상위의 기술 수준 습득이 요구되므로 꾸준한 자기 계발을 해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